구글 스프레드시트

구글 스프레드시트 - 입문편 (1) (스프레드시트 만들기)

David Kim 2022. 6. 22. 18:54
반응형

구글 스프레드 시트란 무엇일까?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어디에 쓸 수 있을까?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?

 

아무도 알려주지 않아서 실무에서 혼자 맨땅에 헤딩하면서 습득한 내용을 다룹니다.

(최적화된 방법보다는 그냥 제가 할 줄 아는 방법을 다룬 것이라 이 블로그에 있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아닐 수 있습니다!)

Image from Pixabay


안녕하세요 데이빗입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구글 스프레드 시트란 무엇일까?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의 서비스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셀(Excel)을 웹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.

마이크로소프트의 엑셀(Excel)과 대부분의 수식을 공유하기 때문에 엑셀(Excel)을 사용해보신 분이라면 거의 진입장벽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, 웹 기반 서비스로 공유가 편리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마이크로소프트의 엑셀(Excel)과 매우 유사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엑셀(Excel)과 동일하게 표 형태로 제공이 되며, 각 칸을 의미하는 셀(Cell)에 숫자, 문자, 또는 수식을 기입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어디에 쓸 수 있을까?

위에서 언급했듯이 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정말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아주 기초적인 부분부터 언급하자면,

기본적으로 표 형태로 제공이 되고 문자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'표'를 요구하는 모든 문서작업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. (e.g., 표 형태의 타임 테이블 만들기, 제품 비교 테이블 만들기 등)

수식을 이용하여 각 셀(Cell)의 숫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계산이 필요한 대부분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. (e.g., 가계부 만들기 등)

수식 중에서 날짜를 이용하는 수식을 사용할 수 있고, 셀(Cell)의 색상과 크기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습니다. (e.g., 프로젝트 로드맵, Gantt 차트 등)

마지막으로 쿼리(Query) 함수, 피봇(Pivot) 테이블, 차트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(data)를 의미가 있는 정보(information)로 가공하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. (e.g., 주/월/분기 별 매출 Dashboard 등)
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?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프리웨어로 구글 계정만 있다면 누구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구글 계정을 만드는 방법은 www.google.com에서 로그인을 클릭하고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이어서 계정 만들기를 클릭해서 손쉽게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본 포스팅은 구글 계정을 만드는 것에 대한 포스팅은 아니니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겠으나, 절차가 크게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설명을 따라 하시면 누구나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가입을 완료하고 로그인을 한 뒤, 우측 상단에 있는 메뉴(점 9개가 모여있는 아이콘)를 클릭해서 중간까지 스크롤을 내리면 스프레드시트(설정 언어가 영어라면 Sheets)를 찾을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, 여기에서 +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새로운 스프레드 시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이 외에도 템플릿 갤러리를 클릭하면 할 일 목록, 가계부, 캘린터, 일정 등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다양한 템플릿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구글에서 제공해주는 템플릿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도움이 될 수 있으나, 동시에 템플릿들을 참고하여 어떠한 형태로 표, 차트 등을  사용하는지, 어떠한 수식들을 사용하는지를 상세하게 보고 나에게 맞게 적용할 수 있다면 그것 또한 좋은 공부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. 

(언제나 그랬듯,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입니다. 때로는 구글 스프레드 시트의 고수가 잘 만들어 놓은 시트 하나를 뜯어 보는 것이 책을 보고 수 시간을 공부하는 것 보다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)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다시 기존 내용으로 돌아와서, 위 새 스프레드 시트 시작하기 화면에서 +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스프레드 시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위에 말씀드렸다시피 기본적으로 표 형태로 제공이 되기 때문에 화면 상단의 열(A, B, C, D, E, ...)과 좌측의 행(1, 2, 3, 4, 5, ...) 그리고 특정한 열과 행이 가리키는 위치의 셀(Cell)들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위 화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해서 알아볼 예정이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레드 시트의 제목을 정하고 저장하는 것과 저장된 스프레드 시트를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먼저 맨 위에 제목 없는 스프레드시트 부분을 클릭하면 새로 생성한 스프레드 시트의 이름을 정할 수 있습니다.

구글 스프레드 시트는 웹 기반의 서비스로 다수의 사용자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 저장을 요구하지 않으며, 수시로 자동 저장이 됩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이름을 지정해 준 상태로 좌측 상단의 스프레드 시트 아이콘을 클릭해주면 다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.

Image Captured by David Kim

그리고 스프레드 시트 화면에 조금 전에 생성한 새로운 스프레드 시트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란 무엇인지, 어디에 쓸 수 있는지,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.

다음 포스팅에서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의 셀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반응형